본문 바로가기
보컬 이야기/작곡_로직프로

유튜버 로직도사님 강의 듣고 정리하기_믹싱기초_5. 크로마버브(리버브)

by Omnivore 2024. 11. 22.
반응형

출처 ==로직도사 : https://youtube.com/@logicdosa?si=itM3OTXWaZEWtzCz

 

로직도사

음악프로듀서 pastor.9 입니다. 로직으로 음악을 만드는 이야기 같이 공유합니다.

www.youtube.com

교안: https://blog.naver.com/9promusic/221806452488

 

#7 로직에서 제공하는 크로마버브(Chroma-Verb) 파헤치기

저번시간에는 여러분들과 함께 리버브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죠. 이제는 본격적으로 로직에서 제공하...

blog.naver.com

 


5강, 로직이 제공하는 크로마버브(Chroma-verb)로 리버브 이해하기 (Logic Pro X Chroma-verb Reverb)

  • 14개의 공간 타입을 제공

크로마버브

  • 홀리버브 추천 
  • Attack : 공간타입에 따라 관여하는 값이 다름
    • 어택값을 높이면 리버브가 늦게 들어오는 느낌이 듦
    • [Theatre, Dense Room, Smooth Space, Reflective Hall, Strange Room, Airy]:
      볼륨에 관여
    • [Room, Chamber, Concert Hall, Synth Hall, Digital, Dark Room, Vocal Hall, Bloomy] :
      최고밀도값에 도달하는 시간에 관여
    • Attack 값은 0에 놓는걸 추천 → Natural 하게
  • Size : 리버브가 울리는 공간의 크기
    • 공간의 크기가 크면 울림이 길어지는가? → 꼭그런건 아님
    • 공간의 크기는 리버브의 질감에 관여하고(무게감)
    • 중저음역이 울리는 소리가 커짐
    • 길이는 Decay나 Wet 노브로 조절가능
    • 어느정도 값을 주고 쓰는걸 추천
  • Density : 리버브의 밀도를 조절
    • 얼리 리플렉션과 레이트 리플렉션의 간격들을 조절 
    • 오밀조밀 == 리버브의 해상도가 올라간다
      But 너무 높이면 지저분해질 수도 있고 리소스도 많이 먹음
      항상 공간계는 적당히
  • Predelay : 얼마나 지난 후에 리버브가 나오게 할 지
    • 너무 짧으면 원래 소스인지 리버브인지 구분이 안됨
      (원래 울리는 공간에서 녹음을 한 것 처럼 들림)
    • 숏딜레이 == 보컬을 단단하게 (ms 단위로 짧게)
      이 때는 리버브를 들릴듯 말 듯 하게 사용해야 함
      20~30ms 정도로 씀
    • 너무 길지 않게, 너무 길면 이질감. 적당히. 약간 따라나온다 정도의 느낌
    • 리듬계통은 짧은 프리딜레이가 좋음
    • 다른 악기는 프리딜레이를 최대로 하고 점점 줄이면서
    • 프리딜레이 싱크 버튼 : 음표 모양, 곡 템포에 맞춰서 조절 가능
      보컬 스트링엔 비추, 리듬계열은 써볼만
  • Decay : 리버브 지속되는 시간 길이 Sustain 또는 Time으로 표기하는 것도 있음
    디케이도 싱크버튼 사용 가능
    프리즈 버튼은 디케이 없이 계속 피드백 시킴. 잘 안씀. 특수효과.
  • Damping EQ : 자연적인 울림은 고음역이 먼저 사라지고 중저음이 오래 남음
    댐핑 값을 조절하면 디지털리버브에 자연스러움을 줄 수 있음
    댐핑값을 올려줄 수록 시간이 지나며 고음역이 먼저 소실되고
    크로마버브의 EQ커브는 시간에 따라 소실되는 음역을 의미
  • Distance : 리버브 소스들간의 거리? 리버브 신호들이 모아지고 펼쳐짐
  • Dry / Wet : 양을 조절

스페이스 디자이너까지 들을 필요가 있을까 싶음

크로마버브면 충분해보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