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이란 무엇인가?
- 주식회사
- “주식회사”란 주식의 발행을 통해 자본금을 조달받아 설립된 회사를 말한다 - 주식
- 주식회사에 출자한 사람들은 투자한 만큼 기업의 소유권을 받게 되는데, 이 소유권이 주식임 - 액면가
- 주가는 매일 변동하나 액면가는 처음 발행 시 정해지는 가격임 - 주주
- 주식을 소유한 사람 == 기업의 소유권을 보유 == 투자금을 출자함
- 주주는 기업의 주주총회에 참여하여 발언할 수 있는 발언권, 중요한 안건에 대한 의결권을 가지며,
기업의 성과에 따라 배당을 받을 수도 있음 - 상장주식과 비상장주식
- 주식시장에 주식을 등록하는 것을 상장이라 하며, 상장을 위해서는 한국거래소의 심사를 통과해야 함
- 심사통과는 까다로우나 상장 시 기업은 자본금 조달 등 여러 메리트가 있으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비상장 기업에 비해 주식매매가 용이하고 정보조달이 용이함 - 비상장기업의 상장
- 비상장기업이 상장하기 위해 주주를 공개모집하는 것을 기업공개(IPO : Initial Public Offering)라 함
- 이러한 기업의 주식을 공모주라 함
주식 시장
* 코스피 > 코스닥 > 코넥스
- 코스피(KOSPI)
- 상장요건이 까다로움
- 주요 대기업, 우량기업이 포진(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 코스닥(KOSDAQ)
- 매출, 이익, 자본 규모가 코스피에는 미치지 못하는 기업들 포진
- 미래 성장성이 기대되는 기업들(벤처, 기술성장 특례기업 등 - 제약, 바이오, 2차전지 등) - 코넥스(KONEX)
- 중소벤처 기업들 포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