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컬 이야기/작곡_로직프로

유튜버 로직도사님 강의 듣고 정리하기_로직의 기초4

by Omnivore 2024. 11. 20.
반응형

출처 ==로직도사 : https://youtube.com/@logicdosa?si=itM3OTXWaZEWtzCz

 

로직도사

음악프로듀서 pastor.9 입니다. 로직으로 음악을 만드는 이야기 같이 공유합니다.

www.youtube.com

 


10강 - 보조트랙(AUX Track) 활용법, 리버브 딜레이 등 공간계 이펙터 세팅법

다이나믹 계열 - EQ / COMP / DeEsser - 뼈를 깎는다 - 양악수술 같이

공간계 - 리버브 / 딜레이 - 화장, 덧칠, 분칠

 

AUX?

AUX단자 사용법

AUX는 2가지 용도로 사용

  1.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사용 - 페이더전에 출력 == 볼륨과 무관하게 출력
  2. 이펙트 유닛으로 사용 - 페이더 후에 출력 == 볼륨에 따라 이펙터양도 변해야하므로

기타 이펙터 체인의 샌드-리턴과 같은 연결 방법인듯 하다

 

AUX의 샌드리턴으로 거는 이펙터는 공간계열(리버브/딜레이/코러스 등등)

다이나믹(EQ/리미터 등은) 인서트에 건다(드라이브류 이펙터를 앰프 이전에 배치하듯).

 

로직의 Sends == AUX 

Sends에서 Bus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음

인스펙터에서 비어있는 Bus 중 아무것이나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노브로 양을 조절 가능 ==> 믹서창에 버스10 채널이 생성된다

Bus10 선택, 노브로 양을 조절 가능

생성된 버스 채널에 리버브 딜레이 등을 걸 수 있다

생성된 채널엔 이펙터를 걸 수 있다

리버브 딜레이를 인서트에 걸지 않고

샌드 리턴으로 빼는 이유

1. 볼륨 밸런싱 - 리버브의 wet/dry 설정을 안건드리고
    페이더나 Sends 노브로 조절 가능하게 됨

2. EQ를 따로 넣을 수 있음

 

** 미디트랙을 오디오트랙으로 받기

  1. 미디트랙의 버스를 지정하고 적당한 레벨로 조정
  2. 새로운 오디오 트랙 생성
  3. 채널 인풋을 버스로 지정하고 레코딩해서 오디오트랙으로 변환
  4. 이렇게 하면 공간계 등이 줄어들기 때문에 리소스를 덜 잡아먹음
  5. 사실 이 작업은 track in place라는 기능으로 가능하긴 함

 

반응형